지적 재산권 매커니즘 (미국 법률) 지적 재산권 발명이나 저작(책, 음악, 그림, 사진 등) 같은 개인의 창작 활동으로 생긴 무형 자산 영업 비밀 소유자만 비밀을 보유하고 법적 구속력 있는 계약 (기밀 유지 협약서 등) 에 의해서만 공개됨 예. 파워포인트나 포토샵 등의 시스템의 구현 코드 상표 회사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별해주는 단어, 문구, 이름, 로고, 특정 색상 예. 맥의 음각 로고, 마이크로소프트의 4색 로고 저작권 다른 사람이 복제 못하도록 창작물을 보호하며, 제한된 기간에 작품을 활용하고 수익 얻을 권리를 창작자에게 줌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디지털 저작권 관리) 저작권 있는 자료를 암호화나 DRM으로 보호하려는 시도는 실패 DRM CDM(Content Decry..
현실에서 프로그래밍은 대규모로 이루어짐 이때 사용되는 전략 무엇을 해야 할지 파악 넓은 명세부터 시작해서 작은 부분으로 해야 할 일을 나누기 각 부분을 작업하며 전체적으로 일관되어 있는지 확인 프로그래밍에서 작업 하나의 크기 == 보통 한 사람이 프로그래밍 언어로 정확한 처리 단계를 작성할 수 있는 정도 다른 프로그래머들의 작업과 함께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일은 어려움 ex. 1999년 NASA의 화성 기후 궤도선이 고장난 사건(미터법 단위 vs 야드파운드법 단위) 아무튼 필자의 첫 번째 ‘진짜’ 프로그램도 약 1000줄 정도 작가가 교수로 있는 학생들이 학교를 다니며 작성하는 프로젝트(8 ~ 10주)도 약 2000 ~ 3000줄 컴파일러나 웹 브라우저는 코드가 수십만에서 수백만 행 대규모 시스템은 수..
계획이 필요하다: 글을 쓸 때, 보통 계획을 세우고 시작한다. 주제를 정하고, 어떤 내용을 담을지, 어떤 순서로 진행할지 등을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밍도 비슷하다. 문제를 정의하고, 어떤 기능이 필요한지, 어떤 로직으로 그 기능을 구현할지 등을 생각해낸다. 절차적 사고가 필요하다: 글을 쓸 때, 단순히 무작정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명확한 흐름과 순서가 필요하다. 먼저 주제를 소개하고, 본론으로 이어가는 등의 과정이 필요하다. 이는 프로그래밍의 절차적 사고와 매우 비슷하다. 어떤 함수나 명령이 먼저 실행되고, 그 다음에 어떤 것이 실행되어야 하는지 등을 정확히 이해하고 구현해야 한다. 반복과 수정: 작문도 프로그래밍도 완성된 후에는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다. 글을 쓴 후에는 교정을 하고, 문맥이 자..
- Total
- Today
- Yesterday
- 12기
- ajax
- 지니차트만들기
- 현재기온
- 유형검사
- 웹개발3주차
- 초보개발자
- 사전스터디
- 보험
- 스파르타
- visualstudiocode
- 항해99
- 스파르타코딩
- 팬방명록만들기
- 공부하기
- 2주차
- 웹개발
- 항해
- 12기 1주차 숙제
- (여자)아이들
- PyCharm
- python
- Til
- 4주차
- 아이들팬명록
- aihtnyc_h
- HTML
- 아이들팬명록만들기
- 현재기온넣기
- 웹개발종합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